윈도우에서 특정 프로그램이나 창을 항상 위에 고정해 두면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모장이나 음악 재생 창을 다른 작업을 하면서도 계속해서 볼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하겠죠. 기본적으로 윈도우에서는 이 기능을 제공하지 않지만, 여러 서드파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주로 가벼운 도구들이며, 이를 활용하면 사용자는 한결 효율적인 멀티태스킹이 가능합니다. 이제 다양한 방법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창을 고정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서드파티 프로그램을 활용한 방법
서드파티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특정 창을 '항상 위에 고정'해두는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대표적인 프로그램 세 가지를 소개합니다. 이들 프로그램은 모두 무료이거나 가볍게 사용할 수 있어, 누구나 손쉽게 작업창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DeskPins
DeskPins은 무료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로, 매우 간단하게 창을 고정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가볍고, 시스템 자원을 거의 차지하지 않아 오래된 컴퓨터에서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치 후, 핀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고 고정하고 싶은 창을 선택하면 해당 창이 항상 위에 떠 있게 됩니다. DeskPins은 윈도우 전용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이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설치 방법: DeskPins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설치 과정은 단순하며, 별도의 복잡한 설정 없이 프로그램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방법: 설치 후 트레이에 있는 DeskPins 아이콘을 클릭한 후, 고정할 창을 클릭하면 해당 창이 고정됩니다. 이후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여러 창을 고정할 수 있습니다.
- 장점: 무료이면서 사용법이 간단하고, 시스템에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며 다양한 윈도우 환경에서 동작이 가능합니다. 또한 설치 과정이 매우 간단해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업데이트가 자주 이루어지지 않으며, 일부 최신 윈도우 버전에서는 약간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윈도우의 새로운 보안 설정과의 충돌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2. Always On Top
Always On Top은 매우 가볍고 단순한 도구로, 특정 창을 단축키로 항상 위에 고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프로그램은 별도의 설치 과정이 필요 없으며, 실행 파일을 다운받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축키를 사용해 창을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마우스 클릭 없이 빠르게 창을 관리하고 싶은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 설치 방법: Always On Top은 설치 파일 없이 바로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공식 웹사이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실행하면, 자동으로 트레이에 등록됩니다.
- 사용 방법: 고정하고 싶은 창을 선택한 후,
Ctrl + Space
단축키를 누르면 해당 창이 항상 위에 고정됩니다. 이 단축키는 프로그램의 기본 설정으로, 필요에 따라 AutoHotkey 등의 도구를 활용해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장점: 매우 가볍고, 별도의 설치 과정이 필요 없으며, 즉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단순한 인터페이스 덕분에 사용법이 매우 직관적입니다.
- 단점: 추가적인 기능은 제공하지 않으며, 단순한 창 고정 기능에만 특화되어 있습니다. 사용자에 따라 단축키 방식이 불편할 수 있으며, 마우스 중심의 작업을 선호하는 경우 이 프로그램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TurboTop
TurboTop은 트레이에 상주하며, 현재 실행 중인 모든 창의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창을 선택해 항상 위에 고정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의 장점은 실행 중인 모든 창을 목록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여러 창을 동시에 고정하고 싶을 때 유용하며, 창의 이름을 통해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 설치 방법: TurboTop은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 후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트레이에 등록되며, 사용자는 바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방법: 트레이에서 TurboTop 아이콘을 클릭하면 현재 열려 있는 창 목록이 나타납니다. 이 목록에서 고정하고 싶은 창을 선택하면 해당 창이 항상 위에 고정됩니다. 여러 창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 멀티태스킹에 매우 유리합니다.
- 장점: 창 관리가 편리하며, 목록을 통해 여러 창을 쉽게 고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레이에 상주하여 언제든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단점: 프로그램이 항상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야 하므로 약간의 시스템 자원을 차지합니다. 그러나 현대 컴퓨터에서는 이로 인한 성능 저하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축키를 이용한 방법
서드파티 프로그램 대신 직접 단축키를 설정하여 창을 고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특히 AutoHotkey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간단한 스크립트로 창 고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AutoHotkey는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도구로, 창 고정 외에도 여러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므로, 고급 사용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입니다.
AutoHotkey 스크립트 활용
AutoHotkey는 사용자가 직접 단축키를 설정하거나, 간단한 스크립트를 작성해 다양한 자동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 특정 창을 항상 위에 고정하는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여러 창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때 유용합니다.
- AutoHotkey 설치: 먼저 AutoHotkey를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설치 과정은 매우 간단하며, 설치 후 바로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스크립트 작성: 아래와 같은 스크립트를 작성한 후 저장합니다. 이 스크립트는
Ctrl + Space
단축키를 사용해 현재 활성화된 창을 항상 위에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SPACE:: ; Ctrl + Space 단축키로 창 고정
Winset, Alwaysontop, , A
return
- 스크립트 실행: 저장한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이제
Ctrl + Space
단축키를 통해 현재 활성화된 창을 항상 위에 고정할 수 있습니다. 이 스크립트는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 장점: AutoHotkey는 매우 유연하고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사용자는 자신만의 스크립트를 작성해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단순한 창 고정 외에도 복잡한 작업 흐름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스크립트를 직접 작성해야 하며, 초보자에게는 약간의 학습 곡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AutoHotkey의 커뮤니티가 매우 활성화되어 있어 다양한 스크립트 예제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기본 윈도우 기능으로는 가능할까?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항상 위에 고정"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서드파티 프로그램을 활용하거나, AutoHotkey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일부 프로그램은 자체적으로 이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멀티미디어 재생기나 웹 브라우저는 이러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별도의 도구 없이도 창 고정이 가능합니다.
Microsoft Edge에서 항상 위에 고정
Microsoft Edge에서는 동영상을 "그림 속의 그림(PIP)" 모드로 재생하면 해당 창이 항상 위에 고정됩니다. 이 기능은 동영상 재생 중일 때만 작동하며, 사용자는 다른 작업을 하면서도 동영상을 계속해서 볼 수 있습니다. 동영상이 재생 중일 때, 동영상 위에서 오른쪽 클릭 후 "그림 속의 그림"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 동영상이 작은 창으로 열리고, 다른 작업을 하면서도 화면의 한쪽에 동영상을 고정해 둘 수 있습니다.
마무리
특정 프로그램이나 창을 항상 위에 고정해 두면 멀티태스킹이 매우 효율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중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위에서 소개한 다양한 도구와 방법을 사용해 자신의 작업 스타일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 보세요. 간단한 도구부터 조금 더 복잡한 스크립트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도구를 찾아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지,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것입니다.
'IT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서치 콘솔에 블로그 등록하기 (0) | 2025.06.22 |
---|---|
Microsoft Word를 이용한 워드프레스 게시물 작성 방법 (0) | 2025.06.21 |
MS 워드 한글 타이핑 속도 문제 해결 방법 (0) | 2025.06.19 |
구글 Gmail에서 새 메일이 도착할 때 바탕 화면 알림 설정 방법 (0) | 2025.06.18 |
블로그 속도 향상을 위한 이미지 최적화 방법 (1) | 2025.06.17 |